여행일기/2018 Portugal

0. 여행 준비 - 포르투갈 역사와 문화

TommyTomTom 2018. 4. 1. 22:19

포르투갈 공부하며 알게된 것들.

 

그냥 나만의 느낌 정도로 요약한 것이라 타인에게 별 도움은 안 될 듯.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하지만 여행 가기 전 어느 정도의 앎이 적당할까는 아직 잘 모르겠음.

여행 일정도 다가오고 있고, 이제 더 이상은 어렵지 않을까.

 

[ 역사 속 인물들 ]

.비리아투스(Viriátus) - 기원전 로마군과 싸운 전설의 장군

 

.아폰수 1세(Dom Afonso Henriques, Afonso I of Portugal) - 포르투갈의 첫번째 왕
  ( 12세기; 알코바사 수도원 건립)

 

.페드루 1세(Peter I) & 이네스 드 카스트루( Inês de Castro) - 포르투갈의 로미오와 줄리엣
  ( 14세기; 둘의 무덤이 알코바사에 있음)

 

.주앙 1세(Joao I) - 스페인(카스티야 왕국)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한 왕, 아드님이 해상왕 엔리케 왕자
  ( 14,15세기; 바탈랴 수도원 건립)

 

.페레이라 (Nuno Álvares Pereira) - 주앙1세를 도와 포르투갈의 독립을 쟁취한 장군

 

.엔리케 ( Henrique O Navegador ) - 해상왕
  ( 14, 15세기)
.질 이아네스(Gil Eanes) - 엔리케 왕자 지시로 아프리카를 탐험
  ( 15 세기)
.바스쿠 다 가마(Vasco da Gama) - 인도까지 항해한 최초의 유럽인
  ( 15 세기)

 

.세바스티앙 (Sebastiao) - 이슬람과 싸우다 전사한 왕. 메시아 신앙(에바스티아니스무; sebastianismo)의 주인공이 되기도.
 ( 16세기)

 

.폼발 (Sebastião de Carvalho, marquês de Pombal) - 대지진 이후 리스본을 재건한 개혁가
  ( 17, 18세기)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António de Oliveira Salazar) - 포르투갈의 박정희(?)
  ( 20세기)

 

.아말리아 호드리게스(Amália rodrigues) - 파두의 여왕
  (20세기)


[ 역사적 사건 ]
.알주바로타 전투(Battle of Aljubarrota) - 주앙 1세 때 스페인(카스티야Castilla 왕국) 독립을 쟁취한 전투
  (14세기 )

 

.토르데시야스 조약(Treaty of Tordesillas) - 스페인이랑 식민지 땅 나누기 위해 맺은 협정.
  (15세기)

 

.리스본 대학살 - 상 도밍구스 성당(Largo São Domingos)에서 시작된 유대교, 신교도에 대한 대학살.
  (16세기)

 

.리스본 대지진 - 1755년, 11월 1일.
  (18세기)

 

.카네이션 혁명(Revolução dos Cravos 헤볼루상 두스 크라부스) - 리스본의 봄. 살라자르 정권을 무너뜨린 평화 혁명
  (20세기)

 


[ 문화 ]
.마누엘리노 양식 (Estilo Manuelino, Manueline 마뉴엘 양식) - 바다와 항해를 모티브로 하는 포르투갈 고유의 양식.
  ( 16세기 초, 제로니무스 수도원, 벨렝탑 )

 

.아줄레주(Azulejo)

 15세기

 .알리카타두(alicatado) : 여러 형태, 색색의 타일들로 기하학적 무늬를 만들다.
 .코르다세카(corda seca/cuerda seca) : 서로 다른 색들이 섞이지 않도록 색들 사이에 안료로 된 선을 두어 구분짓는 방식

.아레스타(aressta/ Arista ) : 코르다세카처럼 색들을 구분짓는데, 타일 표면에 입체감 있는 선을 만들어 (표면을 파 내는 건가?..) 구분짓는 방식.
   (* 신트라의 팔라시우 나시오날)

 16세기

 마욜리카/마졸리카(maiolica/majolica) : 구운 타일에 붓으로 직접 그린다!

 17세기

 쓰임새가 다양해진다!(카펫식 , 제단 가리개 등등)

 18세기

 전성기.

규모가 커지고 그림에도 원근법이 쓰이거나, 인물/풍경/건물묘사 등 다양한 주제가 사용됨
* 대지진 이후 빨리 만들 수 있는 스텐실 기법이 쓰이기도

 19세기

 대중화

 

.칼사다 포르투게자(Calçada portuguesa) : 박석들로 바닥에 무늬를 만드는 포장 도로

 

.탈랴 도라다(Talha Dourada) - 나무에 금박을 입힌 장식. 저비용으로 화려한 효과.
   (16 ~ 18세기, 산타 클라라 성당(Igreja de Santa clara) 포르투, 상 호크 성당(Igreja de São Roque) 리스보아 )

 

.연인들의 손수건(lenços dos Namorados) - 수를 놓은 손수건

 

.제 포비뉴(ze povinho) -포르투갈 사람을 상징하는 캐릭터.


.포르투갈 국가(포르투갈의 노래, A Portuguesa) - 원래 포르투갈 점령지의 철수를 요구하는 영국의 최후통첩(ultimatobritanico)에 반하여 "영국인에 맞서"(Contra os bretões)라는 가사가 있었다고. 현재는 "대포에 맞서"(Contra os canhões)로 바뀌었다 함.

 

.사우다드 (saudade) - 우리네 '한'?

 

 

[ 요리 ]
- 식당 : 헤스타우란트(restaurante) > 타스카/타스키냐(tasca/tasquinha) > 스낵(snack) >카페(cafetaria)

- 간단식 : 비파나(bifana) - 빵 + 돼지고기, 프레구(prego) - 빵 + 쇠소기

* 피리피리(piri-piri) : 핫소스

* 계산서 : 콘타(conta)


- 대구 요리(바칼랴우, bacalhau)
.바칼랴우 아사두(bacalhau assado) : 대표적 대구 요리, 걍 오븐에 구움
.바칼랴우 아사두 콩 브로아 (bacalhau assado com broa) : 대구 + 브로아(옥수수 빵)의 빵가루
.바칼랴우 콩 사보레스 칼데이라다(bacalhau com sabores de caldeirada) : 대구 + 칼데이라다(여러 해물과
양파/토마토 등)
.바칼랴우 아 브라스(Bacalhau à Brás) : 대구 + 튀긴 감자/양파/달걀 등
.파타니스카스 드 바칼랴우(pataniscas de bacalhau) : 대구 + 달걀/밀가루 등을 반죽해 튀김.
  * assado : roast, bake 등의 의미인 듯.

 

- 정어리 (사르디냐; SARDINHA) 요리
.5~8월, 6월이 절정;디자인 경연회가 있다고 (리스보아의 밀레니움 bcp)

 

- 물 :  아구아 셍 가스(água sem gás) : 물, 아구아 콩 가스(água com gás) : 탄산수

 

- 기타 요리들

.카타플라나(cataplana) :포르투갈 해물탕

.쇼쿠 프리투(choco frito) :갑오징어요리; 세투발(setubal) 구시가지가 유명

.레이탕(leitao) :어린 돼지를 통으로 구운 음식(ㅡㅡ)
.프란세지냐(Francesinha) : 식빵 사이에 햄/고기 넣고 치즈 얹고, 소스 올려 먹음

.프랑구 아사두(frango assado) : 치킨
.메실룡이스(Mexilhões) : 홍합 요리

.아메이조아스(amêijoas) : 조개 요리

.람프레이아(Lampreia) : 칠성장어(미뉴지역)

.프레준투(Presunto) : 훈제 햄

.쇼리수(Chouriço) : 양넘 소시지

.스톤 수프, 소파 다 페드라(stone soup,Sopa de Pedra) : 콩, 돼지고기, 소시지, 채소 등으로 만든 수프

.코지두 아 포르투게사(cozido a portuguesa) : 고기,채소,콩 등을 삶은 요리

.아호스 드 마리스쿠(arroz de marisco) : 해물 쌀 요리. 해산물/육수 + 토마토 소스, 쌀을 섞어 만든 요리

.칼두 베르드 (caldo verde) ; 초록색 국; 북부 미뉴의 전통 수프

 

 

[ 술/와인 ]

- 아구아르덴트(aguardente) : 작은 술잔의 독주

- 와인 :

.빌라 노바 드 가이아(vila nova de gaia) : 도루 강변. 달고, 도수가 높다
.알렌테주 지방 와인도 대중적.
.비뉴 베르드(vinho verde) :북부 도루강과 미뉴강 사이에서 생산, 덜 익은(verde) 포도로 만들어 당분/도수가 낮음.
 * 색상 : 틴투(tinto) 레드, 브랑카(branca) 화이트, 로사두(rosado) 핑크, 베르데(verde) 초록의, 어린

 * V.Q.P.R.D ( Vino di Quantità Prodotto in Regione Determinat)

 

- 세르베자(맥주; cerveja)
.맥주잔 기본 크기가 200ml.
.생맥주 : 리스보아 지역 - 임페리알(imperial), 포르투 지역 - 피누(fino)라 부른다고.
.맥주 브랜드 : 수페르복(super bock), 사그레스(sagres)

 

 

[ 커피/차 ]

- 카페(CAFÉ) ; 에스프레소
 .호칭이 다르데; 리스보아 = 비카(bica), 포르투 = 심발리누(cimbalino)

 

- 커피 량에 따라 : 카페 쿠르투(cafe curto) < 카페 콤프리두(cafe comprido) = 카페 셰이우(cafe cheio)

- 진함에 따라 : 카리오카(carioca) : 연한 커피 < 이탈리아나(italiana) : 농축 커피

-우유 량에 따라 : 핑가두(pingado; 북부는 핑구(pingo), 남부는 가로투(garato)) < 메이아 드 레이트(meia de
leite) < 갈랑(Galão)


.카페오레 : 카페 콩 레이트(cafe com leite)

.아바타나두(abatanado) : 아메리카노

.데스카페이니두(descafeinado) : 무 카페인

 

- 샤 프레투(cha preto) : 홍차

 

 

[ 과자 ]

- 두세스 콘벤투아(doces conventuais) : 수도원식 과자

- 파스텔 드 나타(pastel de nata) : 에그 타르트

- 트라베세이루(travesseiro) : 신트라의 명물 과자

- 토시뉴 두 세우(Toucinho do Céu) : 천국의 베이컨?

- 바히가 드 프레이라(Barriga de Freira) : “a Nun’s belly”
- 푸딩 드 아바드 드 프리스쿠스(pudim abade de Priscos) : 수도원장의 푸딩
- 아베이루 오부스 몰레스(Ovos Moles de Aveiro)

  * 제과점 : 파스텔라리아 (pastelaria)

 

 

휴..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