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Book-100자 서평/2021

2021 책읽기 (7) - 인사이드 아웃도어

TommyTomTom 2022. 5. 6. 11:34

인사이드 아웃도어 ['21.6/5]

나는 왜 아웃도어 활동을 좋아하는가.

 

집안에 있으면 갑갑해하고, 집밖을 나서 눈에 들어오는 풍경이 다채로워지고 풍성해지면 말할 수 없는 행복감을 느낀다. 낯익은 풍경들도 좋지만 처음 가보는 새로운 길이 주는 행복은 그 강도가 훨씬 더하다.

그래서 부담스러운 돈을 써가며 멀리 해외여행을 가기도 하고, 땀을 비오듯 쏟고 체력의 한계에 닿기도 하면서 사이클링이나 등산을 즐기기도 한다.

 

가끔씩 궁금했다, 나는 왜 이렇게 이런 집밖의 활동들에서 즐거움을 느끼는건지.

그저 모험심, 탐험심이라고 표현하기에는 그 본질에 가까이 가지 못하는 느낌이었는데 이 책은 그런 의문에 나름 답을 준다. 
물론 그래도 좀 아쉬움이 남고, 너무 인류의 진화론적 측면에서 그저 다 DNA탓이야하고 몰아버리는 느낌도 있지만 단면 중 하나는 찾은 듯 하여 기쁘다.

 

한 권 소장하고 필요할 때 꺼내봐도 좋은 책.



아래는 책 속의 글

"모든 답은 우리의 DNA 속에 있다. 멀리 걷고, 오래 달리고, 숲속에서 야영하는 것에 즐거움을 느끼는 이유를 우리는 DNA 속에서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
그렇다면 인간은 왜 자칫 몸이 망가질 수 있는 격렬하고 지속적인 육체 활동에서 피로감과 고통 대신 쾌감을 느끼도록 각종 호르몬 등 신경 물질을 분비하는 것일까? 이것은 아마도 먹이사슬의 가장 아래 단계에서 수백만 년 동안 생존 투쟁을 벌여온 인류 진화의 산물일 것이다. 날카로운 송곳니와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근육도 없는 인류의 조상들은 오랫동안 달려야만 생존할 수 있었고, 그러기 위해서는 신체의 과부화 상태를 스스로 속이도록 각종 신경물질들을 분비해야 했을 것이다."

 

 

아래는 LNT(Leave No Trace) 관련 원칙들

등산, 백패킹하시는 분들 많이들 보시면 좋을 것 같다.

 

LNT(Leave No Trace)의 7가지 원칙
1. 사전에 계획하고 준비하기(Plan Ahead and Prepare)
- 방문할 지역과 관련한 규칙과 특이사항을 파악한다.
- 기후, 위험 그리고 응급상황을 준비한다.  
- 여행에서 시간을 허비하지 않도록 일정을 잡는다.
- 가능한 작은 인원의 구성원으로 방문한다. 
- 쓰레기를 최소화하도록 음식을 다시 꾸린다.
- 색칠하기, 돌무더기 표시하기, 깃발 설치를 하지 않도록 지도와 나침반을 이용한다.

2. 지정된 구역에서 탐방하고 야영한다(Travel and Camp on Durable Surfaces)
- 지정된 구역이란 확실한 탐방로, 야영지, 바위, 자갈, 마른 풀 또는 눈을 포함한다.
- 호수와 계곡으로부터 약 200피트(약 61m, 성인 걸음으로 약 70보) 이내의 야영을 피한다.
- 좋은 야영지를 만들지 말고 찾는다. 야영지를 개조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 대중이 사용하는 장소에서는 기존의 탐방로와 야영지를 사용한다.
- 탐방로가 젖어 있거나 진창이더라도 가운데를 일렬종대로 걷는다.
- 야영지를 작게 유지한다. 식물 생장이 없는 지역에서 주로 야영한다.
- 자연 상태의 지역에서는 야영지와 탐방로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을 분산시킨다.
- 자연훼손이 시작되고 있는 장소를 피한다.

3. 쓰레기를 확실하게 처리한다(Dispose Waste Properly)
- 자기가 가지고 간 것은 모두 자기가 가지고 온다. 
- 야영지와 휴식처에 쓰레기와 흘린 음식물을 점검한다.
  모든 쓰레기, 남겨진 음식물, 잡동사니를 배낭에 가지고 나온다.
- 배설물은 식수, 야영지, 탐방로에서 약 200피트 떨어진 곳에 6~8인치(약15~20cm)의 구덩이를 파고 안에 묻는다.
- 몸이나 그릇을 씻으려면 개울이나 호수에서 200피트 떨어진 곳으로 물을 가져가서 생물분해성 비누의 
작은 양을 사용한다. 설거지물은 흩뜨려 버린다.

4. 당신이 본 것을 그대로 둔다(Leave What You Find) 
- 과거의 상태를 그대로 보존한다. 문화적 또는 역사적 구조물과 인공물에 손을 대지 않는다.
  바위, 식물 그리고 원래 있던 자연적인 것들은 당신이 본 그대로 둔다.
- 비자연적인 종(種: 현지에서 자라지 않는  동물, 식물)을 가져다 놓거나 옮겨가지 않는다.

5. 모닥불 최소화 한다(Minimize Campfire Impacts)
- 모닥불은 오지에 오랫동안 영향을 줄 수 있다.
  요리를 위해서는 경량의 스토브를 사용하고, 조명은 작은 랜턴을 사용한다.
- 불의 사용이 허락된 곳에서 준비된 파이어링, 파이어팬, 또는 토판 난로를 사용한다.
- 불이 작은 상태를 유지한다. 오로지 손으로 꺾을 수 있는 지표면의 나무 토막을 사용한다.
  땔나무와 숯은 모두 재가 되도록 하고, 모닥불을 완벽하게 정리하고, 식은 재들은 흩뜨려 버린다.

6. 야생 동물을 존중한다(Respect Wildlife)
- 야생 동물과의 거리를 유지한다. 그들을 따라가거나 접근하지 않는다.
- 동물에게 음식물을 주지 않는다. 야생동물에 주는 음식은 건강을 해치고, 자연적 습성을 바꾸고, 포식성과 다른 위험들에 접하게 하는 것이다.
- 애완동물은 처음부터 끝까지 통제하거나, 또는 집에 둔다.
- 교미, 둥지 짓기, 새끼 키우기, 또는 겨울나기와 같은 민감한 시기에는 야생동물을 피한다.

7. 다른 방문자들을 고려한다(Be Considerate of Other Visitors)
- 다른 방문자들을 존중하고 그들이 좋은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보호한다.
- 예의를 지킨다. 탐방로를 다른 이용자들에게 양보한다.
- 무거운 짐을 진 사람과 만나는 탐방로에서는 내려가는 사람이 양보한다.
- 휴식과 야영은 탐방로와 다른 방문자들로부터 떨어진 곳에서 한다.
- 자연의 소리를 그대로 둔다. 큰 목소리와 소음을 내지 않는다.


LNT 7가지 원칙의 로컬라이징
1. 동행 인원을 적게 하라
무리가 많아질수록 도덕심은 반비례하여 해이해집니다. 
가급적 혼자이거나 좋은 친구와 둘이 가는 것이 좋으며, 최대 4명 이하를 권장합니다.
동행 인원이 많아지면 목소리가 커지게 되고, 다른 백패커들과 주변의 짐승들에게 나쁜 영향을 줍니다.

2. 패킹을 가볍게 하라
무거운 짐으로 몸을 혹사시키는 일은 자연에게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칩니다. 
우리가 깊은 숲, 높은 산으로 들어 가는 것은 자연과 동화되어 내면을 돌아보고, 벗들과 나즈막하게 대화하기 위함입니다. 무거운 짐과 음식물로 인해 발길이 닿지 않았던 곳이 고기 기름과 술과 음식 찌꺼기와 배설물로 오염되고 있습니다.
가볍게 가십시오. 그리하여 더 멀리 가고, 더 많이 보며, 더 많이 생각하게 됩니다. 그곳에 진정한 즐거움이 있습니다.

3. 음식을 줄여라
1박의 백패킹에서 음식이 부족해 조난당한 사례는 보고된 바가 없습니다.
오히려 매번 음식이 남았고 남은 음식을 처리하는 것이 매우 번거롭다는 것을 기억하십니까?
많은 음식은 많은 연료를 필요로 합니다. 스토브의 연료를 많이 쓰는 것은 그만큼 제한된 지구자원인 화석연료를 많이 사용하는 것이고, 탄소 배출도 많아집니다.
우리는 이미 너무 많은 지방과 단백질로 주5일을 보내고 있습니다.

4. 지역 주민들을 존중하라
백패커들이 방문하는 곳은 그들에게 삶의 터전이며, 더러는 존경하는 조상님을 모신 곳이기도 합니다. 
그들에게 그곳은 엄숙한 곳이며, 존중해야 할 곳 입니다. 우리는 그들에게 스쳐지나가 는, 초청받지 않은 손님일 뿐입니다.
방문지역의 주인인 지역 주민들을 존중해야 합니다. 예의바르고 겸손하게 행동하며, 큰소리내지 말아야 합니다.
마주치는 그들에게 친절하고 따뜻한 인사를 나누십시오.

5. 지역 경제에 기여하라
가능한 로컬 푸드를 이용하십시오.
사소한 것이지만 방문하는 지역의 시장, 동네 어귀에 있는 작은 가게를 이용하십시오.
돌아오는 길, 동네의 작은 식당에서 한끼를 사먹는 것은 좋은 추억이 될 것입니다.

6. 지역 환경에 관심을 갖고 보호하라
우리가 방문하는 곳에는 희귀한 철새가 계절을 달리하며 찾아오고 있으며, 그곳에만 식생하는 풀과 나무가 있습니다.
우리가 작은 관심만 가져준다면 평생 볼 수 없는 진귀한 동식물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외부의 방문으로 상처입을 지역 환경을 위해 기여할 바를 찾는 것은 방문자들의 작은 의무입니다.

7. 지역 역사와 문화에 관심을 가져라
우리는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는 나라입니다.
어느 산, 어느 길모퉁이를 돌아가도 저마다의 사연과 숨은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습니다.
투박한 봉우리 이름에 얽힌 이야기 하나를 더 알 것이며, 마을 어귀의 나무 한 그루가 가진 사연에 귀기울여보십시오.
거기에 여행의 또 다른 즐거움이 있습니다.

 

 

[ 아래는 책에 소개된 트레일 용어사전 ]

* Hiking : 야생 지역(Wilderness)을 오래 걷는 것. 산 정상을 목표로 하기보다 걷는 행위에 충실한 활동.

* Trekking : 산과 언덕 등 힘든 지역을 걷는 것.하이킹에 비해 산과 언덕 등 힘든 지형을 포함해 좀더 어렵고 복잡한 걷는 행위를 뜻한다

* Backpacking : 야영과 취사 장비, 식량을 배낭에 넣고 이틀 이상 걷는 것.

* Day hiking & Multi day hiking : 데이 하이킹은 빈손으로, 혹은 간단한 간식과 음료만을 챙겨서 하루 동안 걷는 하이킹. 멀티 데이 하이킹은 이틀 이상 연속으로 걷는 하이킹으로 야영, 취사, 식량 등을 운반해야 한다.(=백패킹)

* Thru hiking/Through hiking : 장거리 트레일을 1년 이내에 완주하는 하이킹. 미국의 장거리 트레일인 AT(Appalachian Trail ), PCT(Pacific Crest Trail), CDT(Continental Divide Trail), 뉴질랜드의 테아라로아(Te Araroa), 캐나다의 그레이트 디바이드 트레일(Great Divide Trail), 스페인의 산티아고 순례길 등이 있다.

* Multi-Year Through Hiking : 한 번에 종주하지 않고 여러 해에 걸쳐서 장거리 트레일 전체를 종주하는 것

* Section hiking : 장거리 트레일을 부분 부분 끊어서 하이킹 하는 방식.

* Trail : 산책로, 또는 등산로가 되는 비포장 길

* Trailhead[TH] : 트레일이 시작되는 지점. 대부분의 트레일헤드에는 트레일 이름과 구간 번호 안내, 각종 공지사항 게시판 등이 있다. 진행 방향에 따라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이 같을 수 있으므로 들머리, 날머리 모두를 의미한다.

* Pass : 우리나라의 고개와 같다. 트레일 상에서 산과 산이 만나는 고개를  패스라고 하며, 산 정상 등정을 목표로 하지 않는 하이킹 트레일은 패스를 통해 높은 산맥 을 넘어서 이어진다.

* Trail Magic & Trail Angel : 장거리 스루 하이커들을 지원하기 위해 트레일에서 음식이나 숙소, 교통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정기 이벤트. 트레일 매직을 실행하는 사람들을 트레일 엔젤이라고 부른다.

* Trail Crew : 트레일을 유지 보수하는 자원봉사자들.

* Trail Name : 트레일에서 사용하는 별명. 대부분 외모의 특징이나 개성 등 캐릭터를 잘 드러내는 별명을 사용하며, 트레일에서는 고유한 이름으로 통한다. 트레일 네임의 제한은 없지만 대부분 밝고 유머러스하게 개성을 표현한 트레일 네임을 사용한다.

* Permit : 국립공원, 국유림 등 공공 토지에 속한 장거리 트레일을 걷기 위해 필요한 야영 허가증

* Ranger : 국립공원이나 주립공원 관리원, 산림관리원. 공원 지역을 보호하는 일뿐 아니라 공원 관리와 관련한 법률을 집행할 의무와 권한이 있으며, 일부 공원 지역에서는 테이저 건이나 총기를 휴대할 수도 있다.

* Bonus Miles : 정상 트레일을 벗어나 추가적으로 걷게 되는 거리. 식량이나 식수를 구하기 위해 트레일을 벗어나서 걷는 경우, 또는 길을 잘못 들어 엉뚱한 트레일을 걸었을 때도 보너스 마일이라고 한다.(우리나라에서는 '알바' 라고도 표현)

* Junction[JCT] : 2개 이상의 트레일이  교차하는 갈림길

* Northbound[NOBO] & Southbound[SOBO] : 미국의 3대 장거리 트레일인 AT, PCT, CDT는 모두 남북 방향 으로 이어진다. 이에 따라 남쪽에서 출발하여 북쪽 방향으로 걸어가는 것을 Northbound(NOBO)라 한다. 반대로 북쪽에서  출발하여 남쪽 방향으로 걸어가는 것은 Southbound(SOBO)라고 한다.

* Cowboy Camping : 텐트, 대피소 시설을 이용하지 않고 트레일에서 야영 하는 것을 카우보이 캠핑이라고 한다. 산악 용어의 비박(Bivouac/Biwak)과 비슷한 뜻

* Stealth Camping : 일반적인 야영장소에서 멀리 떨어져 눈에 띄지 않게 야영하는 것

* Zero Day : 장거리 하이킹에서 걷지 않고 쉬는 날. 보통 트레일 밖 마을에서 쉬면서 샤워, 세탁, 식량보급, 고장난 장비를 수리한다.

* Creek : 시냇물, 작은 시냇물뿐 아니라 비교적 큰 규모의 계곡도 크릭이라고 하며, 강수량에 따라 거친 급류로 변하는 경우도 있다. 물을 건너야 하는 부담을 주기도 하지만 식수를 제공하기 때문에 중요한 지점이다.

* Triple Crown : 미국의 3대 장거리 트레일인 AT, PCT, CDT를 모두 종주 하는 것. 3대 트레일을 모두 종주한 하이커는 트리플 크라우더(Triple Crowner). 1년 동안 3개의 트레일을 모두 종주하는 경우 'A Calendar Triple Crown'이라고 한다.

* Base Weight :  물, 식량, 연료를 포함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기본 장비만을 패킹한 배낭 무게.

* Gram Weenie : 패킹 무게를 줄이는 것에 과도하게 집착하는 사람.

* Hiker Trash : 일반적인 관습이나 규범을 지키지 않는 자유분방한 하이커를 지칭

* AYCE[All You Can Eat] : 하루 평균 4000kcal 이상의 열량을 소모하는 장거리 하이커들이 먹을 기회가 왔을 때 놓치지 않고 먹을 수 있을 만큼 최대한 많이 먹는다는 뜻.

* HYOH [Hike Your Own Hike] : '나만의 하이킹'이라는 자존감을 나타낸다. 장거리 하이킹은 경쟁이 아니다. 다른 하이커들의 기대에 의존하지 않고 자신만의 꿈과 목표, 기대치에 따라 자신만의 방식으로 하이킹하는 것이 중요하다.

* MYOG[Make Your Own Gear] : 필요한 장비를 직접 만드는 것.

* Fire ring : 야영지에서 모닥불을 피울 수 있도록 둥그렇게 돌을 쌓아놓은 것

* Bear bag : 곰이 먹지 못하도록 먹을 것은 나뭇가지에 매달기 위한 주머니

* Switchback : 직선 대신 지그재그 패턴으로 만든 길. 가파른 언덕을 직선으로 오르게 되면 지표면이 쉽게 침식되어 트레일을 오래 유지할 수 없다.

 

* 비박(biwak) : 텐트 등의 장비 없이 임시로 하룻밤을 지내는 것(주로 등산에서)


* BPL(Backpacking Light) : 경량 백패킹 ( 'Pack less, Be more!' : 경량 백패킹의 슬로건 )


* Trail Buddy : 길동무


* 볼더링(bouldering) : 암벽 등반의 한 장르로 로프 없이 바위 덩어리(boulder)를 오르는 것

 


[ 아래는 책을 통해 알게된 지식들과 용어들 ]

* 루시 : 340~290만 년 전에 초기 인류가 직립보행을 했다는 것을 가장 잘 알려주는 인간의 화석

* 아이스맨(Iceman) 외치(독일어: Ötzi) : 1991년 알프스의 빙하에서 발견된 약 5300년 전 남성 미라. 발견 당시 빙하 속에서 냉동 건조되어 피부와 내장은 물론 혈액 속 DNA까지 완벽하게 보존되어 당시 시대를 알려주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됨.

* 존 뮤어(John Muir, 1838 ~ 1914) : 스코틀랜드 태생의 미국인으로 자연주의자, 작가, 자연보호주의자이다. 시에라 네바다 산맥에 대해서 자세히 소개했으며, 그의 자연보호운동은 요세미티 밸리, 세콰이어 자연 공원 그리고 다른 자연보호 구역을 보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국립공원 시스템의 아버지’라고도 불리우며, 그가 창설한 시에라 클럽은 미국에서 유명한 자연보호 단체가 되었다. 그의 공헌을 기리기 위하여 시에라 네바다 산의 등산로를 존 뮤어 트레일이라고 부르고 있다.

* 노마드(nomad) : '유목민, 정착하지 않고 떠돌아다니는 사람'이란 의미이며 '디지털 노마드족'은 휴대폰,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등 첨단 기기를 활용해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인터넷에 접속해 필요한 정보를 찾고 세상과 소통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 힙스터(Hipster) : 주류를 거부하고 자신들만의 고유한 패션과 음악, 문화 등 비주류를 추구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

* 5월 혁명, 68혁명 : 1968년 봄 프랑스 파리에서 학생들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5월까지 지속되면서 프랑스 사회의 혁명적 변화를 가져왔던 학생혁명. 권위주의적인 기성 체제에 대한 반발로 시작하여, 여성해방, 자율의 확대, 창조와 다양한 가치관의 존중 등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큰 변화를 이끌어 내었다.

* Cottage Industry : 일종의 가내수공업으로 직접 개발 및 생산하는 소규모 브랜드

* RDS(Responsible Down Standard) : 살아 있는 동물의 털을 뽑는 라이브 플러킹(Live Plucking)을 하지 않은 윤리적인 우모에 대한 국제 인증제.

* REI(Recreational Equipment, Inc.) : 아웃도어 매니아들의 협동조합이며 아웃도어 경험 공유 플랫폼

* 프레너미(Frenemy) : '친구'(friend)','적(enemy)'의 합성어로 경쟁자이면서도 서로 친한 관계의 사람